심혈관 기능 및 호흡기능 향상 |
- 중추 및 말초 적응의 결과로 일어난 최대산소섭취량의 증가
- 절대적 최대하 부하강도에서 분당호흡량 감소
- 절대적 최대하 부하강도에서 심근 산소소비량 감소
- 절대적 최대하 부하강도에서 심박수와 혈압 감소
- 골격근의 모세혈관 밀도 증가
- 혈액 내 젖산축적에 대한 운동역치 증가
- 질병 진단과 증상의 징후발생에 대한 운동역치 증가(예, 협심증, 허혈성 ST분절 하강, 파행)
|
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감소 |
- 안정시 수축기/이완기 혈압 감소
- 혈청 고농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증가와 혈청 중성지방 감소
- 전체 체지방 감소, 복부지강 감소
- 인슐린 요구도 감소, 당 내성 증가
- 혈소판 부착성과 응집성 감소
- 염증감소
|
이환율과 사망률 감소 |
- 1차 예방(즉, 질병 초기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)
- 활동 및 체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감소 와 관련성 있음
- 활동 및 체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심혈관질환, 관상동맥질환, 뇌졸중, 제2 형 당뇨병, 대사증후군,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, 결장암과 유방암 및 담 낭질환으로 인한 암 발병률 감소와 관련성 있음
- 2차 예방(즉, 심장 관련 질환이 발병한 후 중재로 추가적 질병 예방)
-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줄이는 심장재활운동에 참가한 심근경색후 증후군 환자의 경우, 심혈관질환과 모든 사망의 원인이 감소
- 심근경색후증후군 환자를 포함한 심장재활운동을 무작위 대조실험한 결 과, 비치명적 심근경색 재발률 감소를 가져오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남
|
기타 이점 |
- 불안과 우울증 감소
- 지적 기능 개선
- 노인들의 신체기능과 독립적 생활을 증진시킴
- 행복감을 증진시킴
- 일, 여가, 그리고 스포츠 활동의 수행을 증진시킴
- 노인들의 낙상위험성과 낙상으로 인한 손상을 감소 시킴
- 노인들의 기능적 한계를 예방 혹은 경감시킴
- 노인들의 많은 만성질환에 치료 효과를 증진시킴
|